//
Search
📗

미수금

4 more properties
연관 페이지
: 리스크 팀 노션 페이지 입니다.

정의: 미수금이란?

결제 매출(+) 분보다 취소 매출(-)이 많아, 매출일 기준으로 일정산 결과가 마이너스 (-) 일 경우를 말해요.
ex. 5/1 매출 총 합 -100,000원 → 미수금.
다른 날 매출이 발생하면, 해당 미수금을 동일 지급그룹 내에서 자연 상계 처리할 수 있어요.
매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지 않으면, 미수금은 계속 축적돼요.

배경 지식

미수의 개념

1.
정상미수
a.
가맹점의 영업활동으로 부터 발생하는 취소에 따른 마이너스 지급 금액
e.g.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플러스 매출과 자연 상계되는 금액
b.
상태 정의 : 발생부터 회수 프로세스가 적용되기 전까지의 상태
c.
상태 코드 : 정상
2.
실질미수
a.
각 미수금의 상환 예상 등급에 따른 버퍼 제공 이후에도 상환되지 않은 미수금
e.g.플러스 매출이 없거나 적어서 자연상계가 불가능한 금액
b.
상태 정의 : 회수 프로세스가 가동되어 미수금에 대한 안내메일이 발송된 상태
c.
상태 코드 : 실질
3.
손실
a.
여러 방식의 회수를 위한 자체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상계되지 않고 남아있는 미수금
e.g. 가맹점의 연락두절, 파산 등으로 회수가 불가능한 금액
b.
상태 정의 : 보증보험 및 추심으로 이관된 상태
c.
상태 코드 : 손실

미수금의 자연 상계

정상 미수금은 다른 날 매출이 발생하면, 해당 미수금을 동일 지급그룹 내에서 자연 상계 처리할 수 있어요.
자연상계 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어요.
1.
당일 내 상계
당일 동일 지급그룹 내 동일 정산주기를 가진 상점아이디의 플러스 매출과 자연 상계처리 돼요.
타 상점아이디에도 플러스 매출이 없다면, 당일 매출액 안에서 상계처리는 불가해요.
2.
미수 대비
1번에서 상계 되지 않고 남은 미수금은, 다른 날짜의 매출을 보류하여 상계처리 돼요.
아직 지급 확정 되지 않은 플러스 매출을 임시로 보류해두었다가, 마이너스 매출의 지급일이 도래했을때 해제하여 상계해요.
e.g. 롯데온의 미수금 상계
매출일 2023-09-26 FT401L0101 에서 미수금 -173,195원 발생. (지급일 2024-04-11)
매출일 2023-09-26 동일 지급 그룹 내 2023-10-06 지급 금액에서 173,195원 지급하지 않고 보류
지급일 2024-04-11 시점에 2023-10-06 일자에 보류해둔 173,195원 해제하여 미수금 상계처리

미수금 발생 시 프로세스 (non-Sales)

순서
내용
1
자동
컨택 대상 리스트에 누적으로 TM 대상 리스트 업데이트 (daily)
2
CX
1차 컨택 : 알림톡, 메일
3
CX
2차 컨택 : 2주 뒤 진행, TM 진행 및 내용 기입 - 기입란 : 수행일자, 수신여부, 입금예정일 & 번호변경/재직자 아닌 케이스만비고란 작성
4
자동
입금내역 TM시트에 연동하여 기입된 입금예정일 +1일에 입금여부 확인
5
자동
미입금 가맹점은 공문 발송 대상 DB에 적재
6
CX
공문 발송 대상 리스트 추출하여 전자 e-우편으로 보증보험 청구 예정 안내 메일 발송
7
자동
공문 발송 후 입금 여부 확인
8
자동
미입금 가맹점은 보증보험 청구 대상 DB에 적재
9
CX, Risk
보증보험 청구→ CX팀 & Risk 팀 협의하여 진행

미수금 발생 시 프로세스 (Sales)

순서
내용
1
자동
컨택 대상 리스트에 누적으로 TM 대상 리스트 업데이트 (daily)
2
Risk
Sales 건일 경우, #aom-업무처리요청-payments AO팀에 확인 요청
3
AO
1차 컨택 : 미수내역과 공문 생성하여 가맹점에 입금요청 이메일 발송
4
자동
입금내역 TM시트에 연동하여 기입된 입금예정일 +1일에 입금여부 확인
5
AO
2차 컨택 : 미수금 해소가 안되었을 경우, 유선 및 이메일로 리마인드
6
자동
미입금 가맹점은 보증보험 청구 대상 DB에 적재
7
AO, Risk
보증보험 청구→ AO팀 & Risk 팀 협의하여 진행

핵심용어 및 설명

보증보험 : 보증보험은 가맹점의 부도, 폐업으로 미수금 처리가 불가능해질 경우, 보험 회사가 손실을 보상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이를 통해 고객에게 더 안전한 거래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수금 : 아직 지급일이 도래하지 않아, 지급 대기중인 플러스 매출의 정산금액을 의미해요.